제목 없음

 

   청양군 류계종(菁陽君 柳繼宗)

       (성종 3년~중종 24년. 1472~1529)        

 

 

공은 성종 3년(1472)에 증 병조참판 승손(承孫)과 증 정부인 덕수장씨(德水張氏)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자경(子卿)이다. 신령현감 진(新寧縣監 瑱)의 고손이다.

 

공은 어려서부터 무예가 뛰어나 성종25년(1494)에 무과에 급제하여 연산 4년 (1498) 7월에 훈련원 선전관으로 재직 중 조궁(造弓)을 하사 받았다.

 

연산 7년(1501) 북방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장수의 적임자를 선발할 때 류순정(柳順汀) 등 문신 3인과 이윤검李允儉), 윤언함(尹彦咸)등 11인의 무신 중 한 사람으로 공도 선발 되었다.

 

연산 9년(1503) 사재감첨정(司帝鑑僉正)에 올라 윤대(輪對)를 통하여 “신이 위원군(渭原郡)의 원으로 갔다가 국경을 지키는 일을 눈으로 직접 보았는데 봉화대(烽火臺) 군인들이 그 일이 매우 힘들기가 다른 군인들보다 갑절이나 되기 때문에 무예를 가진 사람들은 갑사나 기병에 들어가고, 빈곤한 사람만 봉화대 군인으로 소속 되므로 적변이 있을시 적에게 대응하지 못하고 왕왕 포로가 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본진의 별시위(別侍衛)나 갑사 중에서 용감한 7~8명을 순번을 정해 보내거나 갑사에 예에 의해서 연대(煙臺)에 소속시키되 관직에 서용하여 녹봉을 주시면 무예를 가진 사람이 자청해서 올 것입니다.” 하고 상주하여 평안도에 연대군(煙臺軍)의 미약하고 허술함에 대한 강화책을 건의하여 실현시켰다. 그 이듬해 5월 무과 전시에서 하계증(河繼曾)과 류계종(柳繼宗)이 어전을 등지고 앉자 심히 무례하다 하여 의금부예서 계주(啓奏) 하기를 마땅히 사형에 처해야 하나 잠시 기다려서 처형 하시기를 바랍니다. 하니 전지하여 내리시기를 “신하로서 임금을 예의로서 섬계야 하는데 어전에서 등을 두르고 앉았으니 그들을 사형은 감하여 재물을 바치게 하고 곤장을 쳐서 삼천리 밖으로 유배하라” 하여 원지에 유배되었다. 중종 원년(1506) 박원종(朴元宗), 류순정, 성희안(成希顔) 등이 중종반정을 일으키자 이에 참여하여 그 공훈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에 책록 되었다.

 

그 뒤 오위도총부 중추부의 요직을 역임하고 중종 3년(1508) 9월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로 갔다 중종 5년(1510) 공은 이우증과 함께 외구토벌에 힘썼는데 치계(馳啓)하기를 “적의 기세가 날로 더욱 장대하여져서 약탈한 제포 부산포의 양료와 잡물을 가덕절영 등의 섬으로 운반하고 부산포에 살고 있는 외노들도 처자와 가산을 싣고 제포에 외적과 군사를 연결하니 반드시 길게 몰아 깊이 쳐 들어올 형세입니다. 나이 많고 재주가 용렬한 사람이 많아서 변장에 합당치 않으니 무제가 있는 문신으로 선택하여 보내 소서” 하여 특히 가덕도에 침입 노략질 하던 왜적 300여 척을 격파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그 공로로 청양군(菁陽君) 에 봉해졌다. 그 뒤 중종 7년(1512)에 경상도 병마절도사에 전임하여 방어사목(防禦事目)을 수립하였고, 충청 병마절도사가 되어서는 서해안 방비에 힘썼으며, 중종 11년(1516)에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어서는 북방의 방어책을 상주하였고, 압록강 연안의 야인동태를 주시하면서 군비강화에 힘썼다. 중종 23년(1528) 2월 성절사(聖節使:중국 천자의 생일축하 사절))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임하였고, 그해 3월에 오위장(五衛將:오위 최고사령관, 종2품)에 제수되고  파직 상소가 뒤따랐으나 윤허치 않았다. 중종 24년(1529)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족보에는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역임하였다고 기록되고 있다. 그후 고향에 돌아와 더 이상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공의 배위는 풍안수(風安守) 옥석(玉石)의 따님인  증 정부인 완산 이씨(完山 李氏)로 아들 한분으로 말(末)을 두었는데 황주목사(黃州牧使)를 역임했다. 공은 중종조 후년간에 별세하여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15-1 종산(宗山) 동남쪽 기슭의 선고(先考) 양위분 묘하에 배위 완산 이씨(完山李氏)와 쌍분으로 모셔져 있다. 공은 종산 하 사당(祠堂)에 배향하고, 영정이 모셔져 있고, 홍치(弘治) 7년(성종 25년(1494) 무과급제의 교지(敎旨)가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 「燕山君 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丙寅譜」 「長湍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