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없음

 

   문간공 류염(文簡公 柳琰)

       (공민왕 16년 ~ ?, 1367 ~ ?)        

 

 

안간공 류혜손(安簡公 柳惠孫)은 현복군 권렴(玄福君 權廉)의 따님인 안동권씨, 순인대군 왕상(順仁大君 王瑺)의 따님이신 개성왕씨(開城王氏), 화평군 김광철(化平君 金光轍)의 따님인 광산김씨(光山金氏)와 혼인(婚姻)하여 염(琰), 찬(瓚), 향(珦), 진(瑱)의 아들을 두었는데 公은 공민왕 16년(1367)에 큰 아들로 태어났다. 자(字)는 여헌(汝獻), 호(號)는 묵재(默齋), 시호(諡號)는 문간(文簡)이다. 조부는 진주백 유(晉州伯 洧), 증조는 진주류씨의 중시조인 판시사공 인비(判寺事公 仁庇)이다.

 

公은 16세 때인 우왕 9년(1383)에 대과에 합격하여 판관(判官)에 임명되었으며 철성부원군 이림(鐵城府院君 李琳)의 사위가 되어 우왕의 손아래 동서(同婿)가 되었다.(우왕은 1364년생으로 公보다 3살이 위였다). 또한 매형(妹兄)인 이종덕의 부친은 여말의 대학자이자 정치가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이었다. 부친 안간공 또한 첨의평리, 판후덕부사(僉議評理, 判厚德府事) 등을 역임한 중신이었다. 문벌(門閥)과 혼벌(婚閥)의 배경이 있고 재능이 출중하여 빠른 출세가 보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葳化島 回軍)’으로 정국이 일변하면서 시련이 다가왔다. ‘위화도 회군’ 다음해인 창왕 1년(1389) 김저 사건(金佇 事件)으로 큰 옥사가 벌어지면서 부친 안간공, 장인 이림 등과 함께 귀양을 가게 된 것이다.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성계 세력은 우왕을 폐위시키고 최영을 처형했지만 정국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였다.

 

이색의 강력한 주장에 따라 우왕의 아들인 창왕을 세운 것이 이를 증명하는 것으로서 창왕의 외조부인 李琳은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있으면서 조준(趙浚)의 전제개혁을 반대하는 등 이성계 세력을 견제하고 있었다. 김저사건 이후 이성계 세력은 우왕의 유배지를 강릉으로 옮기고 창왕을 폐하였으며 김저와 연루됐다는 이유를 들어 公을 포함한 반대세력 27명을 귀양 보냈다.

 

公은 2년 후인 공양왕 3년(1391) 정월에 귀양에서 풀려났으나 장인 이림은 같은 해 유배지인 충주에서 병사(病死)했다. 公은 태종 2년(1402) 전라도 관찰출척사(觀察黜陟使 : 훗날 觀察使로 개칭)에 임명되었고 그로부터 15년 뒤인 태종 17년(1417)에는 판 한성부사(判 漢城府事)에 임명되었다. 그 후 판 진주목사(判 晉州牧使)로 있던 公은 부정 비리 혐의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는데 탄핵 사유 중에는 公이 사냥을 나간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해 태종은 “류염은 나와 동년이다. 어찌 사냥을 좋아 하기가 이와 같겠느냐” 하였다. “그는 매를 더욱 좋아합니다” 하고 아뢰니 “ 그 사람도 매를 좋아한다. 죄는 있지만 논하지 말라 하였다. 公과 태종은 동갑이며 과거 합격은 태종이 한해 빨랐으며 태조조(太宗朝)에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임명되었다. 實錄에는 이조판서로서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지는 않으나 조선조 역대의 상신(相臣), 총재(冢宰 : 吏曹判書의 別稱), 각도 관찰사 명단(各道 觀察使 名單)을 실어 놓은 「국주출치록(國朝出治錄)」 1권의 태종조 총재 난(太宗朝 冢宰 欄)에 公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족보에는 이밖에 보문각 대제학을 역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公은 세종조에 벼슬살이를 깨끗이 한 것이 인정되어 청백리에 녹선 되었으며 당질(堂姪)인 청백리공 겸(淸白吏公 謙)도 이때에 함께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 이밖에 公과 함께 世宗朝에 청백리로 녹선 된 인물로는 황희, 맹사성, 류관(文化), 박팽년 등이 있다. 公의 사촌 형인 정평공 구(靖平公 玽)가 역시 청백리로 녹선 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배위는 고성이씨(固城李氏) 사이에서 아들 분(笨)을 두었으며 笨은 상호군(上護軍)을 지냈다.

 

公의 묘소는 현재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 안에 있었으나 예종 때인 1493년 세종(世宗)의 능(陵)이 옮겨 오면서 여주군 북내면 오학리 정퇴(正堆) 자좌(子坐)로 석의(石儀)를 갖추어 예장(禮葬)되어 있으며 배위(配位)는 묘하(墓下)에 모셔져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태종실록」,「청선고(淸選考)」,「국조출치록(國朝出治錄)」